사회

공리주의 - 무엇이 공공의 이득이 되는가!?

네모난 천사 쾌타천 2021. 11. 16. 12:06
728x90


모든 존재는 이득을 추구하기 마련입니다. 이득이란 가치의 결과물이죠. 가치를 추구마다보면 이득이 떨어지는거죠. 이때 무엇이 가치 있고 무엇이 가치 없냐는 각 사람의 이성적판단에 기인합니다. 이성적 판단 능력이 없다면 뭐가 가치있는지도 모르고 뭐가 이득인지도 모르고 손해를 보겠죠. 고로 이성적능력이 있어야 가치판단을 할 수 있고 가치를 추구해야 이득을 일구어 낼수 있습니다. 이득을 일구어 내면 쾌락이 따라 옵니다. 이성적능력이 없다면 이득 자체가 불가능하죠. 무엇이 가치 있는지를 모르니까요. 그런 사람은 주로 도박을 합니다. 도박을 하면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가치를 추구하는 이득을  얻을수는 없고 쾌락이 아니라 쾌감만이 있을 뿐입니다.

공리주의는 모든사람에게 이득이 되야 그것이 올바른 행위라는 것인데,  이말은 맞습니다. 올바른 행위를 하면 스스로에게 이득이되고 결과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이득이됩니다. 사람은  가치를 추구할때 행복하고 그 가치를 추구해 이득을 얻을때 쾌락이 따라옵니다.

공리주의의 단점은 개개인의 이기성을 부정한다는것입니다. 본질적으로 이득을 추구하는 모든 행위는 이기적인겁니다. 그렇게 스스로를 위해 이기적으로 이득을 추구할때 그것이 본의 아니게 타인이나 사회에 이타적으로 이득이 되는것이죠. 또 이타적인 마음으로 사회에 이득이 될때 또 그게 이기적으로 자신에게 이득으로 돌아오는거죠.

이렇게 이기성과 이타성은 순서의 문제로 공통점은 스스로에게 결국 이득이 돌아온다는 것을 벗어날수 없다는겁니다.

스스로 이기적으로 이득을 추구해서 그것이 이타적이득이 된다면 그런 성향의 사람들을 보수라 하고 이타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이득을 주는게 결국 이기적으로 자기에게 이득이되는 사람들을 진보라 합니다. 한마디로 보수나 진보나 스스로에게 돌아오는 이득이 없으면 진짜 가치단체가 아니라는거죠. 노골적으로 쉽게 말하면 스스로에게 이득이되지 않는 봉사활동 등 기타 이타적행위는 진정으로 이타적행위 봉사가 아니라 그냥 사기라는겁니다. 자기에게 아무런 이득이 없이 타인을 돕는다는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한거고 사기꾼들이나 하는짓이라 이말입니다.

보수는 진보의 뿌리고 진보는 보수의 열매입니다.이기심은 이타심의 뿌리이고 이타심은 이기심의 열매입니다. 서로 대적하는 존재가 아닙니다.

그럼 왜 이 사회가 그렇게 부정적이냐. 그 이유는 사람들이 가치추구인 이득을 추구하지 않고 이윤인 이익만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이 가치 없는 이익을 추구할때 소위 말해 독과점이 발생하고 부정적인 의미의 이기주의가 만연하게 됩니다. 이익이란 쉽게말해 가치판단이 들어가 있지 않는 이윤 돈입니다. 기업이 가치판단이 들어가 있는 이득을 추구하지 않고 이윤만을 추구할때 그 기업은 독과점하게 되고 돈만 밝히며 변질되게 됩니다. 기업은 가치를 추구하고 가치투자 해야 합니다.

결론은 이득을 추구하지 않고 이익만을 따지는 사람은 가치판단을 할 이성적 사고가 없는 저능아라는 겁니다. 그런 사람은 역시 도박이나 하겠지요.

By 네모난천사 chulpowr

728x90